지방 미분양아파트 증가세로 반전
지방 미분양아파트 증가세로 반전
민간아파트도 소폭 증가
지방의 미분양아파트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침체된 지방의 주택경기가 여전히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또 민간건설업체가 짓는 아파트의 분양가가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되면서 민간아파트의 미분양분도 소폭 늘어났다.
30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11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6만9천597가구로 전달(6만9천857가구)보다 0.4% 줄어 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작년 2월 이후 9개월 연속 늘어나다 9월 이후 기존아파트값 급등으로 미분양아파트가 관심을 끌면서 10월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4천603가구로 전달(5천997가구)보다 23.2% 줄어 2개월 연속 20%가 넘는 감소세가 이어졌다. 특히 검단신도시의 영향을 받은 인천은 51%나 줄었다.
수도권은 2개월 연속 20% 감소
그러나 지방은 6만4천994가구로 전달(6만3천860가구)보다 1.7% 늘어났다.
이에 따라 지방 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해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파트 건설 주체에 따라서도 미분양 현황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주택공사와 지방공사 등 공공부문이 짓는 아파트 중 미분양은 5천178가구로 전월의 6천219가구보다 16.7%나 줄어들어 3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민간아파트는 6만4천419가구로 781가구, 1.2% 늘어 2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됐다.
민간아파트의 미분양이 늘어난 것은 고가 분양 건설업체에 대한 세무조사가 이뤄지는 등 정부가 분양가 잡기에 나서면서 민간아파트의 분양가가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