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 투자/* 부동산뉴스

"주택업체 2곳 중 1곳, 주택사업 축소"

조은무지개 2007. 2. 8. 11:53
 

"주택업체 2곳 중 1곳, 주택사업 축소"


건설산업연구원, 분양가상한제 도입 관련 설문조사


주택업체 2곳 중 1곳은 분양가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공급 물량을 줄일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 133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회사의 절반이 넘는 56.4%가 정부의 1.11 대책 시행시 주택사업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응답자의 6.8%는 주택사업 자체를 포기할 수 있다고 답해, 정부 대책이 본격 시행될 경우 주택사업 축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분양가 상한제·원가공개 시행시 6.8% 주택사업 포기

반면 정부 정책에 상관없이 주택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업체는 13.5%에 불과했고, 해외주택시장 진출 적극 모색(10.5%), 공공택지 분양사업 진출(10.1%) 등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겠다는 업체도 많았다.

건설업체 10곳 중 8곳은 분양가 상한제 및 분양원가 공개가 이뤄질 경우 주택공급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공급 물량 축소 규모에 있어서 응답자의 28.1%는 10-20%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고, 20-30%(24.7%), 30-50%(11.2%), 50% 이상 축소될 것으로 본 회사도 9%에 달했다. 반면 현 공급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고 답한 건설사는 15.7%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분양가 예상 하락 폭에 대해서 응답자의 42.1%는 10% 미만이라고 답했고, 10-20%(35.3%), 20-30%(13.5%) 순이었다.

분양가 상한제 실시에 대한 대처 방안에선 10곳 중 6곳(64.5%)은 저 품질 시공으로 대응하기로 해 분양가 상한제 실시 후 주택품질 논란을 예고했다. 이밖에 이윤 축소(21.5%), 용적률 및 녹지율 조정(8.3%)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