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 국제자유도시 개발 미뤄지나
경기 북부 국제자유도시 개발 미뤄지나
경기발전연구원, 2~3년 뒤 추진 의견 제시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동과 양주시 은현면 일대 1650만㎡(500만평) 규모로 추진 중인 '국제자유도시' 건설이 또 다시 미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제자유도시 시행사인 한국토지공사가 양주 옥정ㆍ회천지구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사업성을 우려해 지난 3월 단계 개발을 제안한데 이어 지난달 경기개발연구원에서도 2~3년 뒤에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경기개발연구원은 그 이유로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양주 옥정ㆍ회천지구 1082만㎡ 택지 개발로 경원선축의 개발 수요가 감소한 상황으로 국제자유도시 500만평 개발은 많은 무리가 따른다고 지적했다.
"양주 옥정신도시 분양 상황 지켜본 뒤 입지 재평가해야"
이에 따라 양주 옥정ㆍ회천 신도시의 분양 상황을 지켜본 뒤 입지를 재평가해 추진해도 무리가 없다는 의견을 냈다.
앞서 지난 3월 토지공사도 인근 지역의 개발 과다로 인한 수요감소와 도로 등 기반시설 부족을 이유로 1차로 330만㎡(100만평)만 개발한 뒤 나머지를 추가 개발하는 단계적 개발방안을 경기도에 제안했다.
2004년 12월 경기도와 토지공사간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협약 당시에는 2014년까지 모든 공사를 마무리, 자족 가능한 복합도시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국제자유도시 건설의 근거가 되는 '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별' 제정이 지난해 8월에야 이뤄지는 등 3년 가량 사업이 지연된 상태다.
도는 토공에서 제안한 단계개발 방식은 개발 부지의 땅값 상승 등 때문에 불가하다는 입장으로 경기개발연구원의 의견을 받아들일 경우 사업은 또 다시 미뤄지게 된다.
도는 일단 당초 계획대로 1650만㎡을 조기 개발하기 위해 토지공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도 입장은 아직 변함 없어"
도 관계자는 "도의 입장은 아직 변함이 없다"며 "국제자유도시에는 주택 외에도 산업단지와 테마파크, 휴양레저시설, 대학을 함께 건설할 예정으로 토공과 의견 조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업시행사를 바꿔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2004년 미군 주둔지역 배후 지원도시 건설을 위해 토지공사와 협약을 체결, 평택 평화신도시와 동두천ㆍ양주 국제자유도시 건설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국제자유도시의 경우 미2사단의 평택 이전 확정으로 사업 추진 배경이 희석되면서 지지부진하다 지난해 공여지 특별법 시행에 따라 지원도시 사업으로 재추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