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 투자/* 부동산뉴스

여의도서 주상복합으로 재건축 다시 추진?

조은무지개 2007. 7. 17. 13:12
 

여의도서 주상복합으로 재건축 다시 추진?


진주아파트 일부 동서 미니 주상복합 계획


주상복합으로 재건축하려다 지난해 정부의 규제로 어려워진 여의도에서 또다시 재건축단지 주상복합 건립이 추진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번에는 여의도동 진주아파트에서다.

진주아파트는 1977년 완공된 56~109㎡ 380가구다. 11~12층 4개동이다. 이중 11층짜리 D동에서 주상복합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다. D동에는 85㎡ 44가구가 산다. 이들 주민은 기존 건물을 허물고 그 자리에 주상복합을 신축할 계획이다.

D동 주민들은 3월 서울시에 주상복합 건축심의를 신청했다가 재심 판정을 받은 뒤 최근 다시 신청했다. 21층 이상 건물이어서 구청이 아닌 서울시 인허가 대상이다. 3월 신청된 건축심의안은 용적률 640%를 적용해 지하 5층~지상 35층을 짓는 것이었다. 아파트와 판매시설, 오피스텔로 구성할 계획이었다. 공개공지 등 설계상의 문제점 등이 지적됐다.

주민들 우선분양은 안돼 실제 사업여부는 불확실

이번에 신청된 계획은 지난 번 심의에서 지적된 사항을 반영해 지하 5층~지상 36층 규모이고 용적률은 600%를 적용했다. 56가구의 아파트와 부대복리리설,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등을 갖추는 것이다.

일부 동만 허물고 신축이 가능한 것은 진주가 보기 드물게 동별로 필지가 나눠져 있기 때문이다. 동과 동 사이에 시유지 등이 있어 눈으로 봐도 구분돼 있다. 일반 아파트는 대개 한 개의 필지로 공동지분으로 묶여 있어 동별로 필지를 나누기가 어렵다.

용도지역도 나눠져 있다. 4개 동 가운데 B,C동은 일반주거지역이고 A,D동은 상업지역이다. D동이 상업지역이어서 주상복합 건립이 가능하다. 새로 지으려는 가구수가 300가구 미만이어서 건축허가 대상이다.

하지만 주상복합 재건축이 쉽지 않을 것 같다. 다른 동과의 동간 거리 등 건축규제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주민들이 자신의 집을 챙기기 어렵다.

인근 수정·서울·공작 등 상업지역에 포함돼 있던 아파트들이 300가구 미만으로 건축허가를 통해 주상복합으로 재건축해 주민들 몫을 제외한 나머지를 일반분양하려다 정부의 규제로 어렵게 됐었다. 정부는 이 같은 편법 재건축을 막기 위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우선공급을 막았다.

진주 D동의 경우 미니 주상복합 단지지만 우선분양이 어렵다는 게 구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구청 관계자는 “주민들 몫을 챙기기 어려운데 사업 메리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주민들 몫을 챙기려면 정식 재건축 절차를 밟는 게 낫다”고 말했다.

재건축에 대한 주민들의 열의는 별로 없다. 지은지 20년이 넘어 서울시가 지난해 재건축 후보지역으로 지정하려 했지만 주민이견 등으로 기본계획에 포함되지 못했다.

앞으로 사업전망이 불투명함에 따라 이 같은 재건축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별 움직임이 없다. 85㎡의 가격이 현재 6억7000만원선이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일부 동에서 주상복합을 짓는다는 말만 있을 뿐 별 움직임이 없다”며 “가능할지 불확실해 관심을 크게 끌지 못한다”고 말했다.

안양서 재건축 주상복합 일반분양

한편 주민들이 신축방식을 통해 주상복합을 재건축할 계획으로 일반분양까지 한 단지가 있다. 지난해 정부 규제 전에 건축허가를 신청한 덕에 주민들을 대상으로 우선분양이 가능했다. 여의도 단지들이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룬 것이다.

안양시 비산동 원건아파트다. 72㎡ 35가구 5층짜리 한 개 동인 이 아파트는 95~112㎡의 24층짜리 219가구(비산동1차 상떼빌)로 성원건설이 시공을 맡아 다시 지어진다. 주민들 몫 77가구를 제외한 142가구가 지난달 일반분양됐다.

하지만 소규모 단지 등의 이유로 주태 수요자들의 큰 관심은 끌지 못해 대거 미분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