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신도시 일반분양분 7000가구 늘듯
송파신도시 일반분양분 7000가구 늘듯
지자체 "임대아파트 대신 분양아파트 늘려달라" 건의
서울 송파신도시의 분양아파트 건설물량이 당초 계획보다 최대 7000가구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서울시와 경기 성남·하남시 등 관련 지자체가 임대아파트 건설 비율을 56%에서 40%로 줄여줄 것을 요구, 정부가 이를 적극 검토 중이기 때문이다.
또 송파구 쪽에 많은 임대주택 물량도 하남과 성남 등에 건설되는 아파트 총 건설물량에 비례해 재조정될 전망이다.
17일 건설교통부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송파신도시에 포함된 송파구, 성남시 등 지자체는 정부에 공동주택 중 임대아파트 비율을 40%로 낮춰달라고 요구해 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지자체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분양 주택은 7100여가구가 늘어난 2만6900여가구가 돼 청약자들의 당첨 기회가 넓어진다.
건교부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임대 비율을 낮춰달라고 요구해와 협의 중”이라면서 “하지만 아직 그 비율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 계획안은 전체의 55%가 임대
한국토지공사가 지난달 마련한 송파신도시 개발계획안에 따르면 이 곳에 건설될 공동주택 4만4845가구 중 55.7%(2만4997가구)가 임대주택으로 돼 있다. 이에 해당 지자체와 전문가들은 “당초 목표인 강남 수요 흡수가 어렵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전체 공동주택 공급 수 2만1786가구 중 69%가 임대 주택인 송파구의 반발이 거세다. 성남시도 전체 공동 주택 1만4633가구 중 58%인 8537가구가 임대아파트다. 쓰레기소각장이 들어서는 하남시에는 28%만 임대주택을 지으면 된다.
정부 "지자체 요구 최대 반영"
건교부측은 임대 비율 축소와 함께 임대 주택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임대아파트 배정을 해당 지자체에 들어서는 주택 가구 수에 비례해 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초 토공이 마련한 임대주택 건설 비율은 택지개발업무 지침에서 정한 최고치를 적용해 50% 이상을 임대로 구성했지만 최소 40%만 짓더라도 지침 규정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정부 관계자는 “송파신도시에 포함된 3개 지자체가 임대주택 비율 축소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 만큼 신도시 개발을 제때 추진하기 위해 이들 지자체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