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2평형 아파트 장만기간 11년
서울 32평형 아파트 장만기간 11년
전셋집은 4년 5개월 소요…지난해보다 크게 늘어
올 한해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도시근로자가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서울지역 32평형 아파트를 장만하는데 드는 기간이 연초에 비해 2년 이상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상승으로 연초대비 2년 4개월 증가
22일 주택업계가 통계청이 발표한 2006년도 가계수지 동향과 서울 아파트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월 평균 소득 342만3494원(3분기 기준)의 도시근로자 가구가 지출없이 평균 4억5146만원인 32평형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평균 11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연초 8년 8개월에 비해 2년 4개월이 더 늘어난 것이다. 또 평균 2억7천518만원인 서울 25평형 아파트를 사는데 드는 기간은 평균 6년 8개월로 연초의 5년 7개월에 비해 1년 1개월이 증가했다.
이처럼 내집마련 기간이 길어진 것은 3분기 도시근로자 가구소득이 1분기에 비해 0.59% 하락한 반면 서울 아파트값은 같은 기간 32평형이 26.33%, 25평형이 18.59% 오른 때문이다.
권역별로는 강남, 서초, 송파구 등 강남권의 32평형을 장만하는데 총 22년 5개월이 걸려 연초보다 5년4개월 늘어났고, 25평형을 사는데 걸리는 기간도 2년 늘어난 13년6개월이 걸려 올 한해 강남권 진입장벽은 더욱 높아졌다.
소득 감소로 내집 마련기간 늘어
전세 마련도 쉽지 않았다. 도시근로자가 월급을 모아 서울 25평형(평균가 1억1325만원)짜리 전셋집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총 3년으로 연초대비 3개월이 길어졌고, 32평형은 4년 5개월로 6개월 늘었다.
구별로는 25평형 전세금을 마련하는데 서초구가 4년7개월로 가장 오래 걸렸고, 강남구 1년 6개월, 용산구 4년 2개월, 광진구 3년 10개월, 동작.성동구 3년 8개월, 송파구 3년 5개월, 마포.강동구 3년 4개월, 서대문.관악구 3년 2개월 순으로 집계됐다.
강북구는 25평형 평균 전셋값이 8천993만원으로 서울에서 전세 구하기가 2년 2개월로 가장 짧은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