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부동산
- 목동재개발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
- 비즈
- 염창역세권개발
- 빌라투자
- 비즈니스·경제
- 지하철9호선
- 신목동역
- 목2동개발
- 목2동빌라투자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
- 염창역시프트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빌라
- 염창역빌라투자
- 목동빌라투자
- 목2동부동산
- 목2동빌라매매
- 염창역빌라매매
- 역세권시프트
- 목동부동산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등촌역세권개발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 아파트값 '북고남저' 뚜렷 본문
서울 아파트값 '북고남저' 뚜렷
전셋값, 한강 이북이 이남보다 더 많이 올라
서울지역 집값이 한강을 기점으로 남쪽보다는 북쪽이 더 오르는 '북고남저(北高南低)' 현상이 뚜렷하다.
올 들어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집값이 전반적인 안정세를 보인 가운데서도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ㆍ전셋값 모두 한강 이남에 비해 한강 이북이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한강 이남 지역 11개구 아파트 매매값은 연초 대비 0.28% 오른 반면 한강 이북 지역 14개구는 이 보다 5.6배나 높은 1.57% 상승했다.
서울에서 매매값이 연초 대비 2% 이상 오른 곳은 도봉(2.59%)ㆍ동대문(2.28%)ㆍ중(2.25%)ㆍ노원(2.19%)ㆍ성북구(2.16%) 등 5곳으로 모두 강북지역이 차지했다.
반면 한강 이남을 대표하는 강남권 3개구 중에는 강남(0.12%)ㆍ서초구(0.25%)만 소폭 올랐고, 송파구는 0.14% 내렸다. 강동구는 0.01%로 보합세를 보였다.
강남은 1.11 대책 직격탄, 강북은 실수요 뒷받침
이는 민간택지 아파트의 분양가 상한제 적용과 대출 규제를 골자로 한 1.11대책 이후 투자상품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주도한 데 비해 강북지역 아파트는 실 거주수요가 뒷받침돼 호가를 지탱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강남구 개포 주공단지 등 강남권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들은 연초 대비 매매 호가가 1억~2억원 가량 하락했으나 바닥권 급매물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래가 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전세도 마찬가지다. 연초 대비 한강 이북 14개구의 전셋값은 0.94% 올라 한강 이남 11개구의 상승률(0.76%)을 앞질렀다.
전셋값 역시 2% 이상 오른 곳이 중(2.48%)ㆍ강북(2.42%)ㆍ성북구(2.4%) 등 3곳으로 모두 강북지역이었다.
겨울방학 이사철에도 불구하고 강남구는 연초보다 0.94% 오르는데 그쳤고, 송파구는 연초 가격에서 변동이 없었다.
이는 ▲내신성적 반영 비율 확대, 광역학군제 도입 추진 등 입시제도 변화에 따른 학군 수요 감소 ▲집값 불안으로 재계약 사례 증가 ▲송파구 잠실 레이크팰리스(2678가구) 등 대단지 아파트 입주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강남에서는 서초구만 1.97%로 상승 폭이 컸다. 이는 반포동 삼호가든1, 2차(1034가구)와 미주(280가구) 등 재건축 단지의 이주가 시작되며 인근 단지의 전세 수요가 늘어난 때문이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이후 집값 움직일 '5大 변수' (0) | 2007.02.20 |
---|---|
주상복합 공개공지 시민들에게 돌아가나 (0) | 2007.02.20 |
참여정부 4년간 부동산대책 12회…수도권 집값 34%↑ (0) | 2007.02.20 |
건교부 "지방 투기과열지구 해제 검토 안해" (0) | 2007.02.20 |
희비 엇갈리는 고덕지구 재건축 (0) | 2007.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