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목동역
- 염창역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부동산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빌라
- 목2동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목2동빌라투자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세권
- 목2동빌라매매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부동산
- 지하철9호선
- 등촌역세권개발
- 목동구시가지개발
- 빌라투자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빌라투자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개발
- 목동구시가지
- 목동재개발
- 비즈
-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빌라
- 염창역시프트
- 역세권시프트
- 목동빌라투자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ㆍ수도권 경매시장 봄바람 부나 본문
서울ㆍ수도권 경매시장 봄바람 부나
낙찰가율 일부 상승…강세 지속 여부는 미지수
아파트값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던 서울ㆍ수도권의 일부 법원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이 다시 100%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로 돌아섰다.
또 입찰 경쟁률도 높아져 봄 이사철 성수기를 앞두고 경매시장이 다시 활기를 띨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법원경매 정보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8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96.86%로 2주전(89.52%)에 비해 7.34%p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강남권 낙찰가율이 92.66%을 기록해 1월(89.94%)에 비해 2.72%p 상승했다.
강남권 낙찰가율 상승을 주도한 곳은 송파ㆍ강남구로 각각 136.61%, 96.7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아파트시장 호황으로 경매 입찰 물건이 줄어들면서 우량 물건을 중심으로 수요자들이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2일 경매가 진행됐던 송파구 방이동 서경아파트 19평형의 경우 감정가 1억5000만원에 나와 2억53만3000원에 낙찰돼 낙찰가율이 133.7%에 달했다.
강남구 낙찰가율도 96.78%를 기록해 한 달 전에 비해 11.42%p 올랐다. 하지만 지난해 12월(97.81%), 11월 (104.43%)에 비해선 여전히 약세로 강남 고가 아파트 인기가 전과 같지 않음을 반영하고 있다.
12일 감정가 6억2000만원에 경매로 나왔던 강남구 수서동 동익아파트 31평형은 7억420만원에 낙찰됐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11월 경매와 나와 7억8389만원에 낙찰됐으나 매수자가 잔금을 납부하지 않아 다시 경매에 부쳐진 물건이다. 3개월 새 낙찰가가 8000만원 가량 떨어진 셈이다.
이처럼 강남구 아파트 낙찰가 약세를 면치 못하는 이유에 대해 법무법인 산하 강은현 실장은 "정부의 규제 강화로 강남 아파트 수익률이 예전과 같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송파구 낙찰가 136.61%로 가장 높아
강동권 낙찰가도 109.04%로 지난달에 비해 22%p 상승했다. 12일 경매가 진행된 강동구 천호동 우성아파트 31평형은 감정가 3억9000만원에 나와 4억4610만원에 낙찰돼 낙찰가율이 114%에 달했다.
올해 1월 90%대로 떨어졌던 강북권 낙찰가율도 97.31%를 기록해 4.41%p 상승했다.
12일 경매된 노원구 하계동 학여울 청구아파트 32평형은 감정가 2억4000만원로 경매에 붙여져 3억5200만원에 낙찰됐다. 이 물건에는 입찰에는 49명이 몰려 낙찰가율이 146.7%를 기록했다.
마포ㆍ서대문ㆍ용산ㆍ종로ㆍ중구등의 도심권 낙찰가 역시 지난달(92.25%)에 비해 5% 오른 96.86%로 조사됐다. 20일 경매된 용산구 이촌동 중앙하이츠 85평의 감정가는 10억 원이었으나 10억6888만원에 낙찰됐다.
또 같은날 경매가 진행된 중구 신당ㆍ금동호동 약수하이츠 24평 입찰에는 23명이 응찰해 감정가(2억8500만원) 보다 2500만원 비싼 3억1000만원에 낙찰됐다.
경기지역 낙찰가율도 다시 100%선을 회복했다. 이는 1월(90.08%)에 비해 낙찰가가 10%p가량 상승한 것이다.
상승을 주도한 지역은 수원으로 조사기간 경매가 진행된 아파트 물건은 모두 감정가를 넘어선 금액으로 낙찰됐다.
수원 영통구 영통동 벽적골 주공아파트는 낙찰가율 124%인 1억8000만원에, 장안구 조원동 한일타운은 131%인 3억238만원, 권선구 탑동 가림아파트는 109%인 1억3010만원에 8일 낙찰됐다.
인천과 신도시는 지난달과 큰 변화 없는 보합세를 유지하며 안정된 양상을 보였다.
지지옥션 강은 팀장은 "지난해 말부터 아파트값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경매물건이 감소했다"며 "이 때문에 서울 지역 아파트 경매 입찰경쟁이 치열해져 낙찰가율이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앞으로 아파트 경매 낙찰가가 계속 강세를 보일지에 대해서는 주택시장의 상황을 좀더 지켜봐야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정동 법조타운 `비즈니스파크'로 개발 (0) | 2007.02.23 |
---|---|
건교소위, 주택법 개정안 심야절충 무산 (0) | 2007.02.23 |
용인 분양 아파트, 용인 외 거주자엔'그림의 떡' (0) | 2007.02.22 |
"최선의 투자처는 역시 부동산" (0) | 2007.02.22 |
대출규제 속 이자비용 최소화 전략은 (0) | 2007.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