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DTI 확대/대출한도 어떻게 차등두나 본문

재개발 - 투자/* 부동산뉴스

DTI 확대/대출한도 어떻게 차등두나

조은무지개 2007. 2. 27. 11:11
 

DTI 확대/대출한도 어떻게 차등두나


신용등급 등에 따라 30~60% 차등 적용


다음달 2일부터 시중은행들이 총부채상환비율(DTI)을 확대 적용함에 따라 DTI 가산과 차감 항목을 좀 더 면밀하게 살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은 기본 DTI 비율을 40~50%로 설정하고 있지만 가산ㆍ차감 항목을 반영할 경우 고객에 따라 실제로는 30~60%를 적용하기 때문에 대출 금액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27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고정 금리와 분할 상환 여부, 신용등급에 따라 DTI를 30~60% 차등 적용한다.

고정 금리로 대출을 받으면서 분할 상환 방식을 이용할 경우 DTI가 5%포인트씩 총 10%포인트 상향 조정된다. 신용등급이 좋으면 5%포인트 높게, 나쁘면 5%포인트 낮게 적용된다.

 
신고소득 제출시 5%P 낮아져


관공서에서 받은 공식 소득증빙 서류가 아닌 신고 소득을 제출하면 5%포인트 낮아진다.
이에 따라 신용등급이 높은 고객이 고정 금리와 분할 상환 방식을 이용할 경우 DTI가 이론적으로 65%까지 가능하지만 시중은행들은 상한선을 60%로 규정하고 있다.

고정 금리나 분할 상환 등 가산 항목이 적용되지 않는 사람이 신용등급이 낮고 신고 소득을 이용하면 DTI가 30%까지 떨어진다.

 

고정금리 5% 가산은 무의미할 듯


그러나 고정 금리를 선택할 때 5%포인트를 가산하는 조항은 사실상 무의미할 것으로 보인다.

모범 규준에서 제시한 고정 금리 대출은 만기까지 상환 금액이 일정한 완전 고정 금리 상품인데 현재 시중은행이 판매중인 고정 금리 상품의 최장 기간은 5년에 불과하다.

상환 기간이 길면 길수록 대출 한도가 늘어나는 DTI 제도 속성상 5년 고정금리 상품은 DTI 가산 혜택을 받아도 대출 한도가 매우 작다. 즉, 5년 고정 금리 이용고객의 경우 5%포인트 가산 혜택을 받아도 만기 20년짜리 변동 금리 상품을 이용하는 고객에 비해 대출 한도가 작아질 가능성이 크다.

±5%포인트 효과가 있는 신용등급의 경우 대다수 고객이 가산 효과를 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국민은행의 경우 12개 신용등급 중 1~5등급은 DTI를 5%포인트 가산하는 반면 9~12등급은 5%포인트 차감한다.

국민은행 고객 중 1~5등급 고객이 95% 이상이고 9~12등급은 3% 미만에 불과하다.

분할 상환 대출로 DTI를 높게 적용받으려면 거치 기간이 없는 원리금 균등 및 원금 균등 분할 상환 방식을 선택하면 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산 및 차감 항목에 따라 DTI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대출 한도를 늘리려면 가급적 공식 소득 입증 서류를 제출하고 분할 상환 대출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