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세권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빌라매매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구시가지
- 역세권시프트
- 목동빌라투자
- 비즈
- 목2동부동산
- 염창역시프트
-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
- 목동부동산
- 신목동역
- 염창역빌라매매
- 빌라투자
- 지하철9호선
- 등촌역세권개발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세권개발
- 목동재개발
- 염창역부동산
- 목2동빌라
- 목2동개발
- 염창역빌라투자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도심 분양시장 뜨겁다 본문
도심 분양시장 뜨겁다
중대형도 1순위서 마감되기도
입지 좋고 값 싼 보금자리주택이 청약저축 가입자들만의 잔치가 되자 청약예•부금 가입자들이 민간 아파트 분양 단지를 적극 두드린다.
요즘 주택 청약시장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주택 공급 부족 등으로 서울 주택시장은 갈수록 불안해지는 마당에 보금자리주택에는 갈 수 없자 수요자들이 대신 서울 도심이나 서울 접근이 좋은 분양 단지를 노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서울 도심이나 서울 생활권인 광명•의왕시 등지에서 최근 분양된 단지들은 청약 1순위 마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1일 1순위 접수를 받은 서울 성북구 보문하우스토리와 광명시 하안동 광명e-편한세상, 20일 나온 광진구 광장힐스테이트와 인천 청라지구 동시분양 물량, 마포구 공덕래미안, 의왕 포일2지구 휴먼시아 등이 큰 인기를 끌었다.
광명e-편한세상은 행정구역만 광명시일 뿐 사실상 서울 생활권이고, 휴먼시아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청라지구도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등으로 입주 때는 서울로 다니기가 한층 좋아진다.
보금자리 어렵자 민영주택에 몰려
이들 단지는 그러나 대부분 분양가가 주변 시세 수준이다. 가격 경쟁력이 낮은 데도 불구하고 청약자가 몰린 것이다. 실제로 광장힐스테이트는 3.3㎡당 평균 2500만원 선으로 주변 시세와 별 차이가 없다.
공덕래미안 역시 주변 시세 수준인 3.3㎡당 1900만~2300만원에 나왔다. 그럼에도 청약 경쟁률은 최고 143.5대1이나 됐다. 분양가가 싼 단지에만 청약자가 몰리던 상반기와는 분위기가 확 바뀐 것이다.
신한은행 이남수 부동산팀장은 “실수요자들이 주택공급이 부족한 서울이나 서울 대체 주거지를 찾아 적극적으로 내 집 마련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소형(전용 85㎡ 이하)을 중심으로 청약자가 몰렸던 상반기와는 달리 전용 85㎡ 초과 중대형이 인기를 끈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광장힐스테이트 전용 131㎡는 25가구 모집에 288명이 접수해 11.5대1의 경쟁률을 보였고, 광명e-편한세상 전용 99㎡는 11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광장힐스테이트 권오진 분양소장은 “견본주택 내방객 가운데는 집을 넓혀 가려는 실수요들이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청약저축 통장을 쓰는 단지는 보금자리주택에 밀려 외면받는 현상도 나타난다. 김포시도시개발공사가 분양한 한강신도시 공공분양 단지는 순위 내에서 전체 가구 수(1474)의 76%인 1065가구가 미달됐다. 이름 밝히기를 꺼린 김포시도시개발공사 관계자는 “서울로 다니기가 불편한 데다 분양가도 보금자리주택보다 비싸 청약저축 가입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청약예•부금 통장의 서울 도심 쏠림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
정부가 보금자리주택 등을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지만 한동안 공급부족 사태가 계속될 전망인 데다 보금자리구에서 나올 민간 아파트도 내년 말께나 나오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연말 서울에서는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이 대거 쏟아진다.
한아름주택 강주택 사장은 “서울 도심 단지의 경우 분양가가 주변 시세 수준이거나 오히려 더 비싼 만큼 시세차익보다는 실수요적인 입장에서 교통•교육 여건을 잘 살펴 청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집값 4%, 전세금 5~6% 상승" (0) | 2009.11.11 |
---|---|
눈길 잡는 서울ㆍ수도권 도심 아파트 연내 줄줄이 분양 (0) | 2009.10.26 |
보금자리 사전예약 궁금증 모두 풀었다 (0) | 2009.10.16 |
은행 주택대출 가산금리 3%P 육박 (0) | 2009.10.09 |
추석이후 수도권 청약시장 전망 (0) | 200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