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부동산
- 목2동개발
- 목동구시가지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개발
- 목동구시가지개발
- 비즈니스·경제
- 목2동빌라매매
- 목2동빌라
- 지하철9호선
- 염창역
- 등촌역세권개발
- 목2동부동산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빌라투자
- 염창역시프트
- 염창역빌라투자
- 염창역빌라
- 신목동역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세권
- 목동부동산
- 목동재개발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시프트
- 비즈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투자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수도권 전매제한 이달 중순에 풀린다 본문
수도권 전매제한 이달 중순에 풀린다
주택법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이달 중순 시행
이달 중순부터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분양가 상한제 대상 아파트는 계약후 1~3년이 지나면 분양권을 사고 팔 수 있게 된다. 국토해양부는 이와 같은 내용의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이달 중순 공포 즉시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중 투기과열지구(강남 3구)를 제외한 지역의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현행 1~5년에서 1~3년으로 단축된다. 공공택지는 85㎡ 이하 아파트의 경우 공공ㆍ민영 모두 종전 5년에서 3년으로 전매기간이 줄어들고, 85㎡ 초과는 3년에서 1년으로 단축된다.
이로써 광교신도시 등 과밀억제권역 공공택지내 아파트의 경우 이달 중순부터 계약후 1~3년만 지나면 분양권을 팔 수 있게 된다.
그린벨트 해제지구 민영 전매제한도 단축
민간택지에 건설된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는 85㎡ 초과도 85㎡ 이하와 마찬가지로 전매제한 기간이 1년으로 단축된다. 다만 투기과열지구인 강남 3구는 공공ㆍ민간택지 모두 종전대로 3~5년이 그대로 유지된다.
개정안은 또 보금자리주택지구처럼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지역이 50% 이상 포함된 공공택지의 전용면적 85㎡ 이하 민영 아파트 전매제한 기간을 종전 7~10년에서 5~7년으로 완화했다.
분양가격이 인근 주택 시세의 70% 이상인 경우 종전 7년에서 5년으로, 70% 이하인 경우 10년에서 7년으로 각각 줄어든다. 다만 그린벨트 해제지구에서 공공이 분양한 전용면적 85㎡ 이하 보금자리주택은 현행대로 7~10년의 전매제한이 유지된다.
그린벨트가 부지면적의 80%가 넘는 위례신도시는 입주시점의 분양가가 주변 시세의 70% 이하라고 정할 경우 85㎡ 이하 공공아파트는 현행 10년이 유지되지만 85㎡ 이하의 민영아파트는 현행 10년에서 7년으로 줄어들게 된다. 개정 기준은 이미 법 개정 전 분양된 아파트에까지 소급 적용된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다세대주택 전·월세 실거래가 내달 인터넷 공개 (0) | 2011.11.26 |
---|---|
"요즘 뜨는 투룸형 도시형주택, 3천만원이면 산다" (0) | 2011.11.26 |
엇박자 부동산 정책 (0) | 2011.09.15 |
[김인만의 부동산돋보기]오세훈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은? (0) | 2011.08.25 |
"전세 계약 `10% 위약금' 약관 무효"(종합) (0) | 201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