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빌라투자
- 목2동개발
- 목2동빌라
- 비즈
- 목동구시가지
- 목2동부동산
- 등촌역세권개발
- 신목동역
-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빌라
- 염창역세권
- 목동부동산
- 염창역세권개발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지하철9호선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매매
- 목동구시가지개발
- 빌라투자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빌라매매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시프트
- 목동재개발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시 뉴타운 다가구주택 매입 `포기' 본문
서울시 뉴타운 다가구주택 매입 `포기'
뉴타운지역 집값 급등에 `백기'..`탁상행정' 비판론 제기
서울시가 서울시내 뉴타운 지역내 다가구 주택을 매입해 서민들에게 임대하려던 정책을 포기한 것으로 5일 확인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뉴타운 지역내 집값 급등으로 뉴타운 지역내 다가구 주택을 사들여 서민들에게 공급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기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가구당 매입비용 7000만원에 불과해
서울시는 지난 1월 저소득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2007년부터 2012년까지 6년간 매년 1500 가구씩 다가구주택 총 9000가구를 사들여 저소득층 서민에게 임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는 대상 주택으로 한남, 천호, 노량진, 아현동 등 2차 뉴타운지역 12곳의 재개발되지 않은 다가구주택 4000가구와 흑석, 신길동 등 3차 뉴타운 10곳의 다가구주택 5000가구를 상정해 놓았었다.
예산은 총 6300억원으로 국민주택기금에서 50%를 빌리고, 국고보조 40%, SH공사 5%, 입주자 부담 5% 등으로 충당하기로 했었다.
시는 당초 다가구주택 매입비용으로 가구당 7000만원을 책정했으나, 이는 뉴타운지역 내 다가구주택을 매입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액수였다.
현재 한남뉴타운 내 다가구주택은 매매가격이 평당 2500~5500만원에 이르며, 아현, 노량진뉴타운 등도 평당 1500~3000만원을 호가하기 때문이다.
시가 책정한 7000만원으로는 뉴타운지역 내 다가구주택을 고작 `2~4평' 정도밖에 사지 못하는 셈이다.
부동산전문업체 `부동산114' 관계자는 "서울시가 1~3차 뉴타운을 추진하자 `뉴타운 주택=아파트 분양권'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투기꾼이 몰려 다가구주택 가격이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매입 임대주택사업 '흔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결국 뉴타운지역 내 다가구주택을 매입하기로 한 정책을 포기하고, 뉴타운을 제외한 서울시내 전역의 저렴한 다가구주택을 사들여 저소득층에 임대하기로 방침을 변경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소외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한 뉴타운이 서민 부동산정책의 발목을 잡은 셈"이라고 설명했으나, 일각에선 "서울시가 현실을 도외시한 `탁상행정'을 하다 관련 정책을 포기한 것"이라는 비판론도 대두되고 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달 주택대출금리 큰 폭 오를 듯 (0) | 2007.03.05 |
---|---|
올해 아파트 분양 '맞수 대결' 줄이어 (0) | 2007.03.05 |
파주신도시 6월부터 본격분양 (0) | 2007.03.05 |
지방 투기과열지구 9월 전 해제 (0) | 2007.03.02 |
'지가변동률조사’ 오류투성이 (0) | 200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