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빌라매매
- 지하철9호선
- 역세권시프트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빌라
- 염창역시프트
- 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
- 목2동부동산
- 목2동빌라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등촌역세권개발
- 목2동개발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부동산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부동산
- 목동빌라투자
- 목동재개발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빌라투자
- 염창역세권
- 목2동빌라매매
- 목동구시가지
- 비즈
- 염창역세권개발
- 신목동역
- 목2동빌라투자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총 재산 중 77%가 부동산…세계 최고 수준 본문
총 재산 중 77%가 부동산…세계 최고 수준
통계청 2006년 가계자산조사 결과
전국가구를 순자산 순위별로 나눴을 때 상위 10% 계층이 전체 가구 순자산의 절반이 넘는 51.9%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상위 20%가 보유한 총자산과 부동산은 소득 하위 20% 소득의 4.6배에 달하고 가구주가 고용주 또는 자영업자인 사업자가구가 보유한 총자산은 근로자가구의 1.7배에 이르렀다.
7일 통계청의 2006년 가계자산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가구당 평균 총자산은 2억8천112만원으로 이중 부동산이 76.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지난해 5월31일 기준 가격으로 전국 9천300 표준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보유 현황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부동산이 총자산의 76.8%..평균 빚 3천950만원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가구당 평균 총자산은 2억8천112만원으로 전체의 76.8%인 2억1천604만원이 부동산 자산이었고 금융자산은 20.4%인 5천74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 가구의 부동산 자산 선호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총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른 국가의 총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미국 36.0%, 캐나다 50.0%, 일본 61.7% 등이다.
가구 총자산에서 자동차와 골프.콘도회원권 등 기타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2.7%로 평균 764만원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총액은 총자산의 14.0%인 3천948만원으로 금융기관 대출 등의 부채가 2천881만원, 돌려줘야 할 전.월세 임대보증금이 1천67만원이었다. 이에 따라 총자산에서 부채총액을 뺀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2억4천164만원으로 조사됐다.
◇ 자산 상위 10%가 전체의 51.9% 차지=순자산 순위별로 가구를 나눴을 때 상위 10% 계층의 평균 순자산은 12억5천31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상위 10% 계층의 순자산이 전체가구의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9%로 미국(69.5%), 스웨덴(58.0%), 독일(54.0%), 캐나다(53.0%) 보다는 낮았지만 핀란드(45.0%), 이탈리아(42.0%) 보다는 높았다.
최연옥 통계청 사회복지통계과장은 "자산은 유산 등이 포함되는 데다 누적 개념이 들어가기 때문에 소득 격차에 비해 자산격차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최 과장은 "이번 가계자산조사는 가구당 평균 총자산 및 순자산 현황을 보기 위한 것이므로 단순히 전체 가구수를 곱해서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총자산, 순자산을 구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면서 "전체 가구의 자산의 총액 등은 국부통계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가구소득별로 자산격차를 살펴보면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상위 20%) 계층이 보유한 총자산은 6억172만원으로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하위 20%) 가구의 총자산 1억2천996만원의 4.6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종류별로는 소득 5분위의 금융자산은 1억1천456만원으로 1분위(2천487만원)의 4.60배였고, 부동산자산은 소득5분위(4억6천853만원)가 1분위(1억316만원)의 4.54배였다.
자동차와 골프.콘도회원권, 귀금속 등 기타자산 격차는 더욱 커 5분위(1천863만원)가 1분위(193만원)의 9.60배에 달했다.
그러나 가구당 부채는 소득 5분위가 8천258만원으로 1분위 1천426만원의 5.79배로 나타나 가구당 순자산 격차는 5분위가 1분위의 4.48배로 줄어들었다.
◇ 자영업자 총자산, 근로자가구의 1.73배=가구주의 활동상태별 자산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가구주가 고용주 또는 자영자인 사업자가구의 평균 총자산액은 3억9천310만원으로 근로자가구 2억2천718만원의 1.73배로 집계됐다.
퇴직 등으로 현재 가구주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기타 가구의 총자산도 2억5천362만원으로 근로자가구보다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자가구는 총자산의 79.8%(3억1천366만원)는 부동산으로 보유하고 금융자산은 17.4%였던 반면 근로자가구는 부동산이 총자산의 72.2%를, 금융자산이 24.7%를 차지해 사업자가구에 비해 부동산 비중은 낮고 금융자산 비중은 다소 높았다.
◇ 자산보유, 50대 정점 찍고 감소 =연령별로는 가구주가 50대인 가구의 총자산이 3억7천24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 3억2천76만원, 40대 3억260만원, 30대 1억8천1만원, 20대 이하 5천418만원으로 가구주 연령이 높아질 수록 많아지다가 50대를 정점으로 60대 이상 계층부터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65세 이상은 총자산의 85.2%가 부동산인 반면 20대 이하는 총자산의 53.6%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금융자산과 기타자산은 연령대가 낮을 수록, 부동산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가구주 교육 정도별 자산보유 현황을 보면 가구주가 대학교 졸업 이상인 가구의 총자산은 4억4천129만원으로 가구주가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가구(1억6천95만원)의 2.74배였다.
가구주가 고졸인 가구의 총자산은 2억3천896만원, 중졸은 2억2천311만원으로 집계됐다.
◇ 아파트거주 가구가 총자산 가장 많아=주택종류별 자산보유 현황을 보면 아파트 거주가구의 평균 총자산이 4억88만원이었고 단독주택 2억722만원, 연립 및 다세대주택 1억4천658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가구원만 있거나 65세 이상 가구원과 18세 미만 미혼 자녀나 손자녀가 함께 사는 노인가구의 총자산은 1억3천330만원으로 일반가구 2억9천124만원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자산구성 현황을 보면 노인가구는 금융자산(15.1%)보다는 부동산자산(84.1%)에 대한 편중이 일반가구에 비해 더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주 성별 자산보유 현황은 남자 가구주의 총자산이 3억2천269만원으로 여자 가구주 1억5천659만의 2배 이상에 달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다세대주택 일조권규제 완화" (0) | 2007.03.08 |
---|---|
콜금리 연 4.50% 현수준 동결 (0) | 2007.03.08 |
옵션제는 뭘 노릴까요 (0) | 2007.03.08 |
수익형 택지지구 땅 노려라 (0) | 2007.03.07 |
단독주택 허물고 다가구ㆍ다세대 지어볼까 (0) | 2007.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