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목2동빌라매매
- 목2동부동산
- 염창역빌라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빌라투자
- 염창역세권개발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부동산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시프트
- 비즈
- 목2동빌라
- 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세권
- 목2동개발
- 역세권시프트
- 비즈니스·경제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투자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지하철9호선
- 신목동역
- 목동재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세권시프트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10개 지역 공시가격 상승률 30% 훌쩍 넘어 본문
10개 지역 공시가격 상승률 30% 훌쩍 넘어
지난해에는 분당, 평촌 두 곳 뿐
올해 아파트ㆍ연립ㆍ다세대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강남 3구보다 개발 호재가 있었던 과천ㆍ파주 등 경기지역이 더 많이 올랐다. 또 집이 크고 비쌀수록 많이 뛰었다. 반면 단독주택은 울산이 14% 올라 전국 최고였다.
개발 호재 지역이 강남 3구 앞질러
지난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 30%를 넘었던 곳은 분당(39.1%)과 평촌(30.1%) 두 곳뿐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무려 10곳이 30%를 훌쩍 넘었다. 과천(49.2%), 파주(48.1%), 안양 동안(47.8%), 군포(47.7%), 성남 수정(47.3%), 서울 양천구(46.15), 고양 일산(40.3%) 등은 4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들 지역은 모두 재건축ㆍ신도시 개발 호재가 있었거나 아파트 담합이 극심했던 곳이다. 서울에서도 개발 호재가 있었던 강서구(38.6%)와 용산구(33.3%)가 강남 3구의 상승률을 앞질렀다.
건교부 관계자는 “강남 3구보다 개발 호재로 집값이 갑자기 뛴 곳의 공시가격이 많이 올랐다”며 “이 때문에 버블 세븐 지역 외에서 올해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할 가구도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단독주택은 울산이 서울(8.9%), 경기(8.5%), 인천(5.5%) 등 수도권보다 더 많이 올랐다. 제주는 16개 광역시ㆍ도 중 유일하게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0.12% 떨어졌다.
집 크고 비쌀수록 많이 올라
공동주택을 가격별로 보면 ▶2000만 원 이하 3.9% ▶2000만~5000만 원이하는 8.2% 오르는데 그쳤다. 반면 ▶4억~6억 원이하는 32.9% ▶6억~9억 원이하는 30.6% ▶9억원 초과는 32.3%로 비쌀수록 상승폭이 컸다.
전용면적으로 봐도 ^85㎡이하는 12.6~23.1% 오른 데 비해 ^85㎡초과는 23.8~28.4% 올라 중대형일수록 상승률이 높았다.
6억원 초과 주택 중 공동주택의 99.8%, 단독주택의 97.1%가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주인이 임대보증금을 안 준다면? (0) | 2007.05.01 |
---|---|
상가ㆍ오피스텔 '뻥튀기'수익률 주의보 (0) | 2007.05.01 |
"공시가격 재조사 계획 없다" (0) | 2007.04.30 |
올해도 아파트 분양가는 '껑충' (0) | 2007.04.30 |
인천계양구에 장사하려는 사람, 몰려가는 까닭은 (0) | 2007.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