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목2동빌라
- 염창역
- 목2동빌라매매
- 염창역세권개발
- 염창역빌라투자
- 비즈
- 목2동개발
- 지하철9호선
- 염창역세권
- 목동재개발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부동산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부동산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동구시가지
- 등촌역세권개발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빌라투자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신목동역
- 염창역빌라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시프트
- 목2동빌라투자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해외 주택 팔면 국내에서도 양도세 내야 본문
해외 주택 팔면 국내에서도 양도세 내야
해외주택,양도세 중과 결정 때 따지는 주택 수에는 포함 안돼
Q:서울에 아파트 한 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데 투자용으로 미국에 있는 주택 한 채를 구입해 임대를 하다 적당할 때 팔려고 합니다.
해외 주택의 취득과 임대, 양도 때 국내에서도 세금을 내야 한다고 들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A: 우선 해외 주택을 구입할 때는 해당 국가에서만 취득·등록세를 내면 됩니다.
취득과 관련해 국내에 내야 할 세금은 없습니다. 그러나 해당 주택을 구입한 사람과 주택 구입 자금을 송금한 사람이 서로 다르면 증여로 간주돼 국내에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송금한 사람에게서 구입 자금을 증여받은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월세 등을 받고 임대해 소득이 생기면 현지 세법에 따라 해당 국가에 소득세를 냅니다.
국내에서도 종합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해외 주택을 포함해 집을 두 채 이상 갖고 있을 경우 주택임대소득은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해외 현지에서 낸 세금은 세액공제나 필요경비에 포함하는 방법으로 국내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해외주택을 팔면 해당 국가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현지에서 납부한 양도세는 소득세처럼 국내 세금에서 공제됩니다. 해당 국가의 양도세율이 15%이고 국내 양도세율이 20%라면 국내에서는 양국 간 세금 차이만큼만 내면 됩니다. 국내 세율보다 해당 국가의 세율이 높으면 양도세를 낼 필요가 없겠죠.
해외 주택은 양도세 중과 여부를 결정할 때 따지는 주택 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국내에 갖고 있는 주택 수나 해외 주택 수에 상관없이 1주택에 적용되는 세율(9~36%, 1년 미만 매도시 50%)을 적용받습니다.
국내에서 3년 보유 등에 주어지는 비과세 혜택은 없습니다. 국내에서 내야 할 세금을 내지 않으면 최고 40%의 가산세를 물어야 합니다.
'재 테 크 정 보 > * 부동산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ㆍ재개발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요건 잘 따져봐야 (0) | 2007.09.19 |
---|---|
내년 종부세 올보다 34% 증가 (0) | 2007.09.14 |
서울 주택재산세 '양극화' (0) | 2007.07.13 |
서울시민 재산세 24.6% 증가 (0) | 2007.07.13 |
"주택+별장은 소득세법상 1가구 2주택" (0) | 2007.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