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빌라투자
- 비즈니스·경제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세권
- 염창역시프트
- 신목동역
- 비즈
- 목2동빌라매매
- 염창역
- 목2동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목동부동산
- 목동빌라투자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세권개발
- 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빌라
- 염창역부동산
- 목동재개발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투자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지하철9호선
- 목2동부동산
- 염창역빌라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버블세븐 지역, 전셋값만 올랐네 본문
버블세븐 지역, 전셋값만 올랐네
5년간 집값 상승률 수도권 평균의 10분의1
부동산 가격 거품의 상징인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ㆍ양천, 경기 분당ㆍ평촌ㆍ용인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에서 최근 5년간 아파트 전셋값은 급등하고 매매가격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버블세븐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2006년 5월에서 올해 5월 사이 이들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은 26.95%, 매매가격 변동률은 2.39%로 각각 조사됐다.
같은 기간 전셋값 변동률은 수도권 평균(29.25%)과 별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매매가격 변동률은 수도권 평균(20.07%)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최근 5년간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역별, 면적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버블세븐 중에서도 서초(14.41%)와 강남(6.15%), 평촌(6.42%)에서는 비교적 집값이 많이 오른 반면 분당(-9.81%)과 용인(-6.01%)에서는 거품이 많이 빠졌다.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는 집값 하락
면적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가 5년 만에 10.86% 올라 같은 기간 3.64% 떨어진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와 대조를 이뤘다. 전용면적 85㎡ 이하와 초과 아파트에서 모두 가격이 상승한 지역은 서초와 강남 등 2곳에 불과했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고가의 주택이 몰려있는 버블세븐 지역의 매매가 하락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며 "부동산 침체와 용산, 판교 등 신흥 부촌의 등장으로 과거에 비해 버블세븐의 의미가 퇴색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지역탐방 > * 목 동 소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목동지역은 ‘지금 내부자 거래중’ (0) | 2011.12.21 |
---|---|
목동의 ‘학군 1번지’가 바뀐다 (0) | 2011.11.26 |
낙후된 일반주택지 재정비 마련을 위한 용역 시행-양천구 보도자료 (0) | 2011.05.10 |
명품전철 4인방이 집값 판도 확 바꾼다(上) (0) | 2011.03.08 |
목동 전셋값 두달 새 1억원 올라 (0) | 201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