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세권개발
- 염창역세권
- 빌라투자
- 목동부동산
- 목2동부동산
- 목2동빌라매매
- 신목동역
- 지하철9호선
- 염창역빌라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시프트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개발
- 비즈니스·경제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빌라투자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빌라매매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재개발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부동산
- 비즈
- 목동구시가지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 강북 구릉지 개발 쉬워진다 본문
서울 강북 구릉지 개발 쉬워진다
구릉지-역세권 결합개발제 도입
구릉지와 역세권을 하나로 묶어 개발하는 `결합개발' 제도가 도입돼 노후주택이 많은 강북 구릉지 지역의 재개발이 한층 쉬워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강북지역의 재개발 활성화를 위해 올해부터 `구릉지-역세권 결합개발' 제도를 도입,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결합개발은 구릉지 1곳과 역세권 1곳을 하나의 사업단위로 묶어 개발하면서 구릉지는 용적률, 층고 등 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대신 역세권에는 용적률, 층고 등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개발 방식이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지금껏 독자 사업으로 진행될 때는 사업성이 없어 개발이 잘 추진되지 않던 구릉지 개발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된다.
시 관계자는 "강북지역의 31.3%가 구릉지여서 경관 보호 등을 위해 재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강북지역의 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이 방식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구릉지에는 자연경관지구, 5층 20m 이하로 개발이 제한되는 최고 고도지구, 문화재 주변, 제1종 일반주거지역 등이 포함된다.
역세권은 제2,3종 일반주거 및 준주거지역의 평지로 폭 20m이상 도로 또는 지하철역의 주변지역이 해당된다.
용적률 인센티브, 높이 완화 등 인센티브
시는 역세권 개발에 용적률 인센티브는 물론 ▲건축물 높이 완화 ▲임대주택 건립비율 완화 ▲기반시설 설치비용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줘 구릉지-역세권 결합개발을 이끌어 낼 방침이다.
결합개발 구역으로 지정되면 조합설립 인가, 사업시행 인가, 관리처분 계획, 준공 인가 등을 하나로 통합해 처리하며, 건축계획 수립과 준공 후 공동주택관리는 구역별로 할 수 있다.
시는 올해부터 2009년까지 재정비촉진지구 내에서 1~2개 구역을 지정해 시범사업을 벌인 후 사업 결과를 살펴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재개발 - 투자 > * 재개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치구가 재개발 정비계획 직접 수립 (0) | 2007.01.12 |
|---|---|
| 흑석 4재개발구역 정비구역 지정 (0) | 2007.01.11 |
| 왜 우리는 성동구를 보물섬이라 일컫는가 (0) | 2007.01.10 |
| 개발 호재 민간단지 노릴만 (0) | 2007.01.09 |
| ‘브랜드ㆍ가격ㆍ입지’ 갖춘 강북 재개발단지 주인 찾아 (0) | 200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