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 강북 구릉지 개발 쉬워진다 본문

재개발 - 투자/* 재개발뉴스

서울 강북 구릉지 개발 쉬워진다

조은무지개 2007. 1. 10. 16:08
 

서울 강북 구릉지 개발 쉬워진다


구릉지-역세권 결합개발제 도입


구릉지와 역세권을 하나로 묶어 개발하는 `결합개발' 제도가 도입돼 노후주택이 많은 강북 구릉지 지역의 재개발이 한층 쉬워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강북지역의 재개발 활성화를 위해 올해부터 `구릉지-역세권 결합개발' 제도를 도입,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결합개발은 구릉지 1곳과 역세권 1곳을 하나의 사업단위로 묶어 개발하면서 구릉지는 용적률, 층고 등 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대신 역세권에는 용적률, 층고 등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개발 방식이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지금껏 독자 사업으로 진행될 때는 사업성이 없어 개발이 잘 추진되지 않던 구릉지 개발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된다.

시 관계자는 "강북지역의 31.3%가 구릉지여서 경관 보호 등을 위해 재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강북지역의 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이 방식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구릉지에는 자연경관지구, 5층 20m 이하로 개발이 제한되는 최고 고도지구, 문화재 주변, 제1종 일반주거지역 등이 포함된다.

역세권은 제2,3종 일반주거 및 준주거지역의 평지로 폭 20m이상 도로 또는 지하철역의 주변지역이 해당된다.

용적률 인센티브, 높이 완화 등 인센티브

시는 역세권 개발에 용적률 인센티브는 물론 ▲건축물 높이 완화 ▲임대주택 건립비율 완화 ▲기반시설 설치비용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줘 구릉지-역세권 결합개발을 이끌어 낼 방침이다.

결합개발 구역으로 지정되면 조합설립 인가, 사업시행 인가, 관리처분 계획, 준공 인가 등을 하나로 통합해 처리하며, 건축계획 수립과 준공 후 공동주택관리는 구역별로 할 수 있다.

시는 올해부터 2009년까지 재정비촉진지구 내에서 1~2개 구역을 지정해 시범사업을 벌인 후 사업 결과를 살펴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