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세권시프트
- 등촌역세권개발
- 신목동역
- 목동부동산
- 비즈니스·경제
- 목동구시가지개발
- 비즈
- 빌라투자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시프트
- 목2동빌라매매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부동산
- 목동재개발
- 염창역빌라투자
- 목2동부동산
- 염창역세권개발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세권
- 염창역빌라
- 지하철9호선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빌라투자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개발
- 목2동빌라
- 염창역빌라매매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미분양, 중대형은 '쌓이고' 소형은 '줄고' 본문
미분양, 중대형은 '쌓이고' 소형은 '줄고'
85㎡초과 작년말보다 9%↑…60㎡이하는 23%↓
중대형주택의 미분양은 차곡차곡 쌓이는 반면 소형주택의 미분양은 빠르게 해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형의 미분양 증가는 6억원초과 주택에 대해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적용돼 대출을 받기 어려운데다 9월부터 분양가가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 때문으로 분석된다.
4월말 전국 미분양 7만3천393가구
5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4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7만3천393가구로 집계돼 전달에 비해 231가구, 0.3% 늘어났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379가구, 0.5% 감소한 것으로 올해들어 미분양주택은 7만3천가구 수준에서 큰 변화가 없다.
규모별로는 중대형주택은 미분양이 계속 늘어나는 반면 소형은 빠른 속도로 소진되고 있다.
전용면적 85㎡초과주택의 미분양은 2만9천960가구로 작년말보다 9.3% 증가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60㎡초과-85㎡이하 주택의 미분양은 3만8천807가구로 작년말 대비 3.8% 줄었으며 60㎡이하는 4천626가구만 미분양으로 남아 작년말보다 22.9% 감소했다.
중대형의 미분양이 쌓이는 것은 6억원초과 주택에 대해 DTI가 적용되고 있어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은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9월부터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면 중대형주택의 분양가 인하폭이 클 것이라는 기대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DTI로 구입자금 마련 어렵자 미분양 쌓여
공급주체별로는 민간부문의 미분양주택은 7만1천836가구로 작년 말과 큰 차이가 없고 공공부문은 1천557가구로 작년 말보다 20.3% 감소했다. 공공부문의 미분양이 줄어드는 것은 이미 공공주택에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고 있어 분양가가 더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보고 분양에 적극 나서고 있는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또 지역별로는 작년말과 비교했을 때 서울(29.5%), 대전(70.9%), 울산(52.7%), 충북(39.3%), 제주(82.0%) 등은 늘어난 반면 부산(-10.4%), 인천(-48.6%), 경기(-34.0%), 광주(-10.4%) 등은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반기 주공아파트 분양 받는건 어떨까 (0) | 2007.07.05 |
---|---|
"소래ㆍ논현지구 개발이익은 2조,개발부담금은 0원" (0) | 2007.07.05 |
잠실 트리지움 상가, 분양가 역대 최고되나 (0) | 2007.07.05 |
동탄신도시 불법전매자 당첨 취소 (0) | 2007.07.04 |
올 상반기 법원경매 2000년 이후 최대 호황 (0) | 200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