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부동산
- 빌라투자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빌라매매
- 비즈
- 염창역세권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빌라투자
- 목동빌라투자
- 목2동빌라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신목동역
- 염창역빌라
- 목2동부동산
- 지하철9호선
- 목동재개발
- 역세권시프트
- 목동부동산
- 염창역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시프트
- 염창역빌라투자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세권개발
- 목2동개발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 뭉칫돈 ‘양평~홍천’ 땅에 몰렸다 본문
서울 뭉칫돈 ‘양평~홍천’ 땅에 몰렸다
전국 땅 거래 자료 7년치 최초 분석
서울 사람들이 전국을 누비며 해마다 서울만한 넓이의 땅을 사들이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한국토지공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2000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7년5개월간의 토지 거래 내역을 분석했더니 서울 거주자가 사들인 땅은 서울 땅의 7배 규모인 4262k㎡(12억8932만 평)에 달했다.
서울 사람들은 주로 수도권과 가까운 강원·충남·충북, 그리고 제주 땅을 많이 샀다.
양평~홍천 벨트 선호
서울 사람들은 강원도 땅을 좋아하는 듯하다. 서울 사람들이 많이 거래한 상위 20곳 중 강원도 지역만 12곳(평창·양양·속초·홍천·횡성 등)에 달했다. 다음으로 충청권이 6곳(서산·음성·당진·단양 등)이었다.
서울 사람들이 몰려든 강원도 땅은 주로 전원주택지로 인기가 있거나 고속도로 건설 등으로 개발 기대가 커진 곳이다. 횡성과 홍천은 서울 사람 매매비율 1, 3위를 기록한 경기도 가평과 양평 라인의 연장선으로 전원주택 수요가 많은 곳이다.
양평-가평-횡성-홍천 벨트는 매년 거래자 중 20~40%가 서울 사람이다. 일시적 현상으로 볼 수 없다는 얘기다. 홍천 무궁화부동산의 박상우 대표는 “양평 땅이 그동안 많이 올라 인접한 홍천이 덩달아 올랐다”며 “그중에서도 양평 옆에 붙어 있는 땅의 거래가 특히 많다”고 말했다.
평창은 겨울올림픽, 양양과 속초는 동서고속도로, 원주는 기업도시·혁신도시 등의 호재가 있는 곳이다.
제주도의 경우 서울 사람이 몰린 곳은 서귀포다. 이 지역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따뜻한 곳에서 노년을 골프 치며 보내겠다는 사람들이 2000~3000평씩 사들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전원주택지를 사는 사람은 주로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의 은퇴 층이다. 충북 단양이나 제천 지역도 마찬가지다. 단양 대명부동산의 장이봉 대표는 “소백산 등산을 즐기면서 살겠다며 서울에서 내려오는 사람이 꽤 늘었다”고 말했다.
서울 사람들은 노른자위 땅을 골라잡는다. 강원도 양양 부동산중개업소의 관계자는 “거래 물건은 바닷가 80%, 계곡 20% 정도인데 그 가운데 수도권 사람이 80%”라며 “바닷가 좋은 땅은 모두 서울과 수도권 사람들이 사갔다”고 말했다.
기획부동산이 설치면서 서울 사람의 거래가 늘어난 지역도 있다. 인제 석병진공인중개의 석 대표는 “스키장 개발설이 나돌면서 기획부동산이 활개친 적이 있었으나 요즘에는 정년 퇴직을 앞둔 사람들이 노후 대비용으로 조금 산다”며 “그러나 기반시설이 나빠 실제 집을 짓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강원도 철원의 삼성부동산 관계자는 “수도권에서 토지를 수용당한 사람들이 보상받은 돈으로 여기 와서 땅을 구입한 경우도 많았다”고 했다.
개발설 좇는 서울 돈
강원도와 제주를 제외한 지방 토지는 주로 개발 재료 때문에 서울 사람들이 구입했다. 충남 서산 지역이 대표적이다. 서산 부동산파크의 한 관계자는 “기아자동차 공장과 기업도시가 세워진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며 “다른 충청지역에 비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늦게 지정돼 땅 투자가 수월했다”고 말했다.
2001년 1월과 2004년 1월 서산·태안·당진 세 곳은 거래자의 90%가 서울 사람이었다. 음성도 사실상 수도권 대접을 받는 땅이다. 설성공인중개의 염종구 대표는 “교통이 좋아지면서 이천·여주지역 수요 일부가 이쪽으로 내려왔고 혁신도시 개발 재료를 좇아 서울 사람들이 많이 왔다”고 말했다.
충청 이남에서 서울 사람의 발길이 가장 잦았던 전남 신안은 해양도시·조선소 건설 같은 소문이 무성했던 곳이다.
베이비붐 세대 움직임에 주목
서울 사람들의 지방 땅 사재기는 앞으로도 더 이어질 전망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하면 이들이 전원주택을 짓고 살 지방 땅을 사들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베이비붐 세대는 흔히 1955~63년생으로 만 44~52세 층이다. 4~5년 뒤에는 이들이 은퇴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맞물려 양평~홍천 일대의 토지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문화시설이나 의료서비스와 같은 제반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이들이 도심으로 회귀할 수도 있다. 고 대표는 “일본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한 뒤 도심을 탈출했지만 결국 적응하지 못해 되돌아간 사례가 많았다”고 소개했다.
현도컨설팅 임달호 대표는 “전원주택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지만 하나의 트렌드로 보기에는 시기상조”라며 “하지만 교통망이 갖춰져 출퇴근이 가능할 정도가 된다면 장기적으로 하나의 큰 부동산 축이 형성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 사람들의 선택도 수도권 주변이나 지방 신도시 주변에 집중될 공산이 크다.
고 대표는 “서울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기업도시·혁신도시 같은 개발 재료와 서울과의 접근성”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부동산대책은 외지인의 토지 매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외지인은 양도차익의 60%를 세금으로 내야하고, 토지 취득 과정에서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 실수요임을 입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방 땅을 사고파는 것이 모두 어렵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서울 사람들이 앞으로 사들일 지방 땅은 전원주택 등 실수요 목적이 분명한 것이 주류를 이룰 전망이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분양 고급아파트엔 ‘없는 게 없다’ (0) | 2007.07.24 |
---|---|
학군 인기지역, 방학 전세특수 실종 (0) | 2007.07.23 |
휴가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 및 (0) | 2007.07.23 |
한강, 남산 보이면 아파트값도 쑥쑥 (0) | 2007.07.23 |
처분조건부 매물, 하반기 집값 변수로 떠올라 (0) | 2007.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