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구시가지
- 역세권시프트
- 비즈니스·경제
- 지하철9호선
- 등촌역세권개발
- 비즈
- 목동재개발
- 염창역부동산
- 빌라투자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빌라매매
- 염창역세권
- 염창역시프트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세권시프트
- 신목동역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
- 염창역빌라투자
- 염창역세권개발
- 염창역
- 목2동개발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
- 목동부동산
- 목2동부동산
- 목동빌라투자
Archives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한강, 남산 보이면 아파트값도 쑥쑥 본문
한강, 남산 보이면 아파트값도 쑥쑥
성수동 한강 조망 아파트 일반 아파트 비해 54%나 비싸
같은 아파트 같은 평형이라도 한강이나 남산 조망 여부에 따라 매매가격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산, 한강 끼고 있을 수록 상ㆍ하한가 격차 커
22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25개 구 아파트 매매가격(평형 미구분)를 조사한 결과, 상한가는 평균 5억5971만원, 하한가는 평균 4억9010만원으로 상한가가 하한가보다 평균 14.2%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산이나 한강을 끼고 있는 지역일수록 상ㆍ하한가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구별 가격 차이는 남산타운 등 남산 조망 아파트가 많은 중구가 31.4%로 가장 크게 벌어졌고, 이어 한강 조망 아파트가 포진한 광진구(25.8%)와 성동구(22.1%) 순이었다.
버블세븐 지역은 상ㆍ하한가 격차 작아
개별단지로는 성동구 성수동 청구강변이 하한가 대비 상한가가 53.8%나 높았으며, 광진구 광장동 광장5단지(48.3%), 광진구 노유동 한강우성(45.9%), 광진구 자양동 현대3차(45.8%)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재건축 단지가 많은 강동구는 8.57%로 가장 낮았고, 강남구(9.8%), 서초구(10.6%), 송파구(10.9%), 양천구(12.1%) 등 매매가가 높은 버블세븐 지역도 상ㆍ하한가 격차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뭉칫돈 ‘양평~홍천’ 땅에 몰렸다 (0) | 2007.07.23 |
---|---|
휴가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 및 (0) | 2007.07.23 |
처분조건부 매물, 하반기 집값 변수로 떠올라 (0) | 2007.07.23 |
서울시 경춘선 폐선부지에 `철도테마공원' 조성 (0) | 2007.07.23 |
경기도 교통영향평가 기간 '45일→21일' 단축 (0) | 2007.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