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재개발 초기사업장 "바쁘다 바빠" 본문

재개발 - 투자/* 재개발뉴스

재개발 초기사업장 "바쁘다 바빠"

조은무지개 2007. 11. 23. 11:11
 

재개발 초기사업장 "바쁘다 바빠"


내년 규제피하기 위해 추진 서둘러


분양가상한제 대상이 되는 초기 단계의 서울지역 재개발 사업장들도 바빠졌다. 내년부터 재개발 규제가 강화돼서다. 사업 손을 놓고 있다간 재개발을 아예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주민들이 재개발계획을 세워 구역 지정을 신청하는 주민제안제도를 폐지키로 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 중이다. 구역지정이 돼야 재개발 대상지로 확정돼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주민제안제도가 없어지면 구청에서 직접 재개발계획을 세우고 구역지정 절차를 밟는다.

재개발 대상요건 매년 연장돼

시는 또 현재 지은 지 20년 이상인 재개발 대상요건도 점차 30년까지 늘리기로 했다. 1년에 허용연한을 2년씩 늘릴 것으로 보인다.


모두 무분별한 재개발을 억제하고 계획적으로 개발하겠다는 뜻이다. 서울시는 내년부터 이들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구역 지정 이전 지역들은 재개발을 시작하기 까다로워진다. 시는 구청에서 주민의지·노후도 등을 감안해 재개발이 시급한 곳을 선별적으로 구역을 지정토록 할 방침이다.

시는 아직 구역지정이 되지 않은 재개발 예정지에 바뀌는 규정을 적용할 예정이다. 시에 따르면 2005년 선정된 재개발 예정지 250여곳 중 80여곳만 구역지정을 받았다. 시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구역 지정을 받지 못하면 이전처럼 재개발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구역 지정을 서두르고 있다. 시에는 구역 지정 신청이 몰리고 있다. 이달 들어 마포구 염리3구역, 주구 만리2구역 등이 구역지정을 받았고 구청의 검토를 거쳐 현재 재개발 예정지 10곳 정도의 구역지정안이 올라와 있다.

 

사업 확정된 구역에 투자해야


중구 신당11구역, 서대문구 충정로1구역, 성북구 안암2구역 등이 심의를 기다리고 있다.

J&K부동산투자연구소 권순형 소장은 “재개발 예정지 중에서도 주거 여건이 상대적으로 괜찮은 곳이나 예정지에 아예 포함되지 않은 지역은 피하는 게 안전하다”며 “막연한 재개발 기대감보다 사업이 확정된 구역 위주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