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신목동역
- 빌라투자
- 목2동빌라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시프트
- 등촌역세권개발
- 비즈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빌라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
- 염창역세권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빌라매매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비즈니스·경제
- 목2동빌라매매
- 목동구시가지
- 목동재개발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동빌라투자
- 지하철9호선
- 염창역빌라투자
- 목동부동산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개발
- 목2동개발
- 목2동부동산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상속 부동산 양도할 때 실매입가 기준 과세 가능" 본문
"상속 부동산 양도할 때 실매입가 기준 과세 가능"
조세심판원 최근 결정
상속받은 부동산 처분 시 납부하는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피상속인(사망한 가족)이 실제 매입한 금액을 취득가액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판단이 나왔다.
국무총리 소속 조세심판원(원장 백운찬)은 최근 조세심판관 합동회의를 열고 이렇게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조세심판원에 따르면 심판 청구인은 모친이 사망하기 1년8개월 전에 취득한 다가구주택을 2006년 2월에 상속받았다.
청구인은 상속세를 신고하지 않은 채 2008년 7월 이를 8억원에 양도했다. 양도세 신고시에는 취득가액을 모친이 실제 지불한 7억원으로 기재했다.
그러나 과세 관청은 상속받은 재산의 실질취득가액을 상속 당시의 시가로 보는 규정에 따라 당시 기준시가인 3억여원을 취득가액으로 상정, 청구인에게 3100만원의 양도소득세를 부과했다.
"있지도 안은 소득에 세금 부과"
이에 청구인은 "어머니 소유의 부동산을 상속받고 양도했을 뿐인데 구입 당시 실제 지불한 금액이 취득가액으로 인정되지 않아, 있지도 않은 소득에 세금이 부과된 만큼 부당하다"고 조세심판원에 이의를 제기했다.
조세심판원 관계자는 "이 경우처럼 피상속인이 취득한 날로부터 1년8개월이 경과하고 피상속인의 취득 당시에 비해 시가하락의 특별한 사정이 없음에도 상속 당시의 기준시가를 취득가액으로 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매우 불리한 만큼 예외적으로 실제 지불한 대금을 취득가액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 요지"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조세심판원은 부동산 임대업자가 자기 소유 오피스텔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던 사업자에게 오피스텔을 양도한 경우에는 사업의 포괄 양도가 아닌 만큼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라는 결정도 내렸다.
연합뉴스
'재 테 크 정 보 > * 부동산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운계약서로 부동산 거래 10년 동안 추적해 세금추징 (0) | 2010.08.25 |
---|---|
저소득근로자, 농어민 등 취약층 지원 (0) | 2010.08.25 |
신탁, 대물변제 미분양도 취득ㆍ등록세 감면 (0) | 2010.06.19 |
고가주택의 양도소득세 절세 (0) | 2010.02.22 |
양도세 규정 올해도 큰 폭 손질…알아야 세금 덜 낸다 (0) | 201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