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목동역
- 목동빌라투자
- 목동재개발
- 염창역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세권개발
- 지하철9호선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시프트
- 비즈
- 염창역세권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등촌역세권개발
- 빌라투자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부동산
- 목2동빌라
- 목2동빌라매매
- 역세권시프트
- 목동부동산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빌라투자
- 목2동개발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단독)서울시, 9천억 마곡 워터프론트 백지화 검토 본문
(단독)서울시, 9천억 마곡 워터프론트 백지화 검토
[이데일리 박철응 기자] 부채 줄이기에 나선 서울시가 9000억원 규모인 마곡지구 워터프론트 사업의 축소나 백지화를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고위관계자는 5일 "마곡 워터프론트 사업에 대해 축소하거나 백지화하는 등 다양한 가능성을 놓고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진형 서울시의원은 "이 시기에 요트를 띄우는 사업에 9000억원이나 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서울시로부터 안 하거나 규모를 줄이겠다는 설명을 들었다"고 전했다.
마곡지구는 서울에서 마지막 남은 대규모 미개발지다. SH공사에 따르면 마곡지구의 총 사업비는 8조5000억원 규모이며 지금까지 보상비 위주로 3조4482억원이 소요됐다. 앞으로 공사비 등으로 5조원 가량이 더 필요한데 이 중 9000억원 가량이 워터프론트 사업비다.
워터프론트는 마곡지구 내 중앙공원과 한강 인접부에 배가 다닐 수 있는 수로와 호수, 공원, 페리 터미널같은 정박시설을 설치하는 등 79만1000㎡의 대규모 수변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경제성과 환경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노현송 강서구청장도 선거 때부터 마곡 워터프론트 사업의 재검토를 주장했는데, 수천억원을 들여 땅을 파내고 물길을 만들기보다 땅과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이용하자는 입장이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도시지역계획학과)는 "마곡 워터프론트 사업은 부동산 시장이 활황일 때 계획됐는데, 그 자체로 개발 비용이 1조원 가까이 증가한다"면서 "마곡지구의 산업단지 등에서 분양되는 돈을 워터프론트에 쏟아부어야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부채 규모를 줄이기위해 마곡지구 외에도 도로나 터널 등 SOC사업에 대한 예산 절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및 산하기관 부채는 모두 23조6356억원에 달한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원룸텔은 '지분등기'일까 (0) | 2010.08.25 |
---|---|
공공관리제 비용 서울시 전액 부담 추진 (0) | 2010.08.12 |
불확실한 시장…경매도 장기적 관점을 (0) | 2010.08.12 |
[한겨레21] [특집] 강남에서 용인까지 뚜렷한 집값 하락세… (0) | 2010.07.23 |
하반기 부동산시장 확 뚫린다 (0) | 201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