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개발
- 목2동빌라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
- 염창역빌라투자
- 목동재개발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
- 지하철9호선
- 목2동부동산
- 목동구시가지
- 목동빌라투자
- 목동부동산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개발
-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신목동역
- 염창역빌라
- 빌라투자
- 비즈
- 염창역빌라매매
- 목2동빌라투자
- 목2동빌라매매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시프트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부동산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급속 감소 본문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급속 감소
10월 한달에만 23%나 줄어
아파트 매매가 상승으로 미분양 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감소세로 반전됐다. 특히 수도권의 미분양 물량은 10월 한 달동안에 23%나 줄었다.
27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9857가구로 9월말의 7만3134가구에 비해 3277가구, 4.5% 감소했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올 2월 이후 줄곧 증가하기 시작해 9월에는 7만3134가구로 1999년9월(7만3733가구) 이후 최고에 이르렀다.
미분양 주택이 감소세로 반전된 것은 9월이후 기존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면서 매매시장을 통해 내집을 마련하기가 어려워졌다는 판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존 집값 오르자 미분양 구입 늘어
10월 말 현재 미분양주택을 공급주체별로 보면 민간부문이 소폭이긴 하지만 전월보다 3.6% 줄어 6만3638가구가 됐으며 공공부문은 12.8% 감소해 6219가구가 됐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18평이하가 2.2% 줄어 든 6308가구, 전용 18평초과-25.7평이하가 6.4% 감소한 3만9천154가구, 전용 25.7평초과가 1.9% 감소한 2만4395가구다.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5997가구로 1개월새 23.1%나 감소했다. 지방은 6만3860가구로 2.4% 감소하는 데 그쳐 특히 수도권에서 미분양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시도별 미분양 주택수는 경남이 1만1729가구(전월대비 -2.1%)로 가장 많고 부산이 7764가구(-4.4%)로 2위, 대구가 7531가구(-4.7%)로 4위를 각각 기록해 영남지역에 주택이 과다하게 공급된 영향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충남이 7580가구(+2.1%)로 세번째로 많았으며 광주는 6582가구(-5.8%), 강원이 5218가구(-0.9%)로 각각 5, 6위를 기록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홀로 가구` 급증 - 주택시장 복병 (0) | 2006.12.27 |
---|---|
다가구 다세대 규제완화 실제론 ‘빛좋은 개살구’ (0) | 2006.12.27 |
"부동산 안정보다 경기회복이 우선" (0) | 2006.12.27 |
"땅 사겠다" 줄고, "아파트 구매" 늘어 (0) | 2006.12.27 |
정부-서울시 '용산 개발' 싸고 2라운드 공방 (0) | 2006.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