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염창역부동산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빌라투자
- 목2동부동산
- 지하철9호선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세권
- 신목동역
- 목동재개발
- 목동구시가지
- 빌라투자
- 목2동개발
- 목동부동산
- 목2동빌라투자
- 염창역
- 비즈니스·경제
- 목2동빌라매매
- 목2동빌라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세권개발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
- 염창역시프트
- 역세권시프트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비즈
- 염창역빌라투자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나홀로 가구` 급증 - 주택시장 복병 본문
`나홀로 가구` 급증 - 주택시장 복병
65세 고령인구의 증가율이 총인구 증가율을 크게 앞서고 가임여성(15~49세) 인구가 처음 감소세를 보이는 등 고령화가 갈수록 빠른 속도로 진척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섯 가구 가운데 한 가구는 이혼 사별 등의 이유로 혼자서 거주하는 "나홀로 가구"인 것으로 조사돼 주택시장의 불안요소가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인구,총인구 증가율의 12배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결과"에 따르면 고령인구는 436만5000명으로 2000년보다 29.5%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총인구 증가율 2.3%의 12.8배다.
전국 234개 시·군·구 가운데 고령자 구성비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곳은 63개로 5년 전보다 34개,고령자 구성비가 7% 이상인 "고령화 사회"가 된 곳은 87개로 11곳이 각각 늘었다.
16개 시·도별로는 울산을 제외한 모든 시·도가 고령 또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반면 가임여성 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05년 현재 15~49세의 가임여성은 1309만7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5만8000명이 줄면서 사상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1인가구 급증…주택시장 복병되나
지난해 1인가구는 317만1000가구로 전체 1588만7000가구의 20%를 차지했다.
연도별 1인가구 수는 △1985년 66만1000가구(전체의 6.9%) △1990년 102만1000가구(9.0%) △1995년 164만2000가구(12.7%) △2000년 222만4000가구(15.5%) 등이었다.
2000년 대비 2005년의 1인가구 수 증가율은 42.5%로 전체가구 증가율(11.0%)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주택수요가 많은 연령대인 30~49세의 1인가구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나는 추세여서 주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작년에 40~49세인 1인가구 수는 47만4000가구로 2000년보다 60.7% 증가했다.
연령대별 증가율 1위다.
증가율 2위는 51.6% 늘어난 30~39세로 총 62만9000가구를 기록했다.
사유별로는 △미혼 △사별 △이혼 △직장 등의 문제에 따른 불가피한 별거 등 4가지 중 주택시장의 변수로 작용하는 "이혼"과 "직장문제에 따른 불가피한 별거" 등 두 가지 사유에 따른 1인가구가 큰 폭으로 늘었다.
이혼에 따른 1인 가구 수는 지난해 37만3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11.8%를 차지했다.
총가구의 11.6%(36만8000가구)를 차지한 주말부부 등의 증가속도도 빠르다.
증가율이 37.9%에 달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1인가구의 증가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를 면밀히 검토해 주택공급 계획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세워놓은 상황이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집값 2.3% 오를 것” (0) | 2006.12.27 |
---|---|
잠실 일대 수백개 중개업소 몰린 까닭은 (0) | 2006.12.27 |
다가구 다세대 규제완화 실제론 ‘빛좋은 개살구’ (0) | 2006.12.27 |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급속 감소 (0) | 2006.12.27 |
"부동산 안정보다 경기회복이 우선" (0) | 200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