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수도권 서북부 거점도시 개발 본문

재개발 - 투자/* 부동산뉴스

수도권 서북부 거점도시 개발

조은무지개 2007. 6. 18. 10:52
 

수도권 서북부 거점도시 개발


신도시가 부른다⑤-검단신도시


지난해 신도시로 지정된 검단신도시는 인천시 서구 검단ㆍ당하ㆍ원당동 일대 340만평 규모로 서울 도심이나 인천신공항에서 20km가량 떨어져 있다. 북서쪽으로는 김포신도시가, 남쪽으로는 청라지구와 인접해 있다.

인천시는 지난달 31일 검단신도시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안 건설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함에 따라 6월 중으로 지구 지정과 사업시행자 선정 등을 마무리 짓고 본격적으로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현재 건교부 주택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가 진행 중이다.

인천시는 지구지정과 함께 광역교통대책 등 개발계획을 수립해 내년 2월께 개발계획 승인을 마칠 계획이다. 아파트 분양은 2009년 6월로 예정돼 있다. 입주는 2011년 말께 이뤄진다.


2009년 6월께 아파트 분양 예정개발

정부 계획에 따르면 검단신도시의 인구 밀도는 1ha당 133명으로 분당(198명)ㆍ일산(176명)신도시에 비해 훨씬 쾌적한 도시로 건설된다. 녹지는 30% 이상으로 계획돼 있고 도시 곳곳에 중앙공원과 연계된 생태공원이 조성된다.

정부는 특히 검단신도시를 행정ㆍ문화ㆍ교육기능을 갖춘 친환경적인 수도권 서북부의 거점도시로 만들 방침이다.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소(小)생활권 단위의 공간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자족기능도 확보할 예정이다. 정부와 인천시는 이를 위해 검단신도시와 인접한 강화도 해안 쪽에 약 120만평 규모의 검단산업단지를 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수도권매립지 인근에 50만평에 달하는 생활체육시설을 만들고 자연형 하천과 인공형 수로를 연계해 도시 전역에 실개천이 흐르는 블루네트워크(Blue Network)도 구축할 방침이다.

교통대책으로는 인천 지하철 1호선이 검단신도시까지 연장되고, 현재 인천시가 추진 중인 인천 지하철 2호선이 이 지역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된다. 또 광역교통도로로 원당∼경명로간 도로와 김포∼원당간 도로가 신설된다.

현재 검단신도시 예정지 주변에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3월 개통된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있는데, 모두 검단신도시 예정지 남쪽 지역을 지난다.

2014년까지 6만6000가구 건설

검단신도시에는 2014년까지 아파트 등 주택 총 6만6000여 가구를 건설된다. 여기에는 2만3000여 가구의 임대주택도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17만7000여 명을 수용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그러나 평형별, 주택 유형별 구체적인 가구 수 등은 기본계획이 나와야 알 수 있다.

아파트는 이르면 2009년 6월쯤 분양할 수 있을 것으로 인천시는 본다. 그러면 2011년 말 첫 입주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분양방식은 선분양과 후분양이 함께 이뤄질 전망이다.

검단신도시는 20만평이 넘는 공공택지여서 전체 분양 물량의 70%는 인천 외 서울ㆍ수도권에 거주하는 청약통장 1순위자들에게 우선 분양된다. 나머지 30%는 인천에 거주하는 청약통장 1순위자에게 돌아간다.

검단신도시에서 나오는 아파트는 현행 제도상 모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계약 후 최장 10년간 아파트를 팔 수 없게 된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분양 때까지 아직 2년의 시간이 남은 만큼 이 기간 동안 청약 점수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청약전략을 세우라고 조언한다.

자족기능 확충 방안 “현실성 없다”

검단신도시는 그러나 현실성 없는 자족기능 확충 방안이 문제로 지적된다.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 산업단지를 조성한다고는 하지만 검단신도시 규모에 비하면 산업단지가 턱없이 작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검단신도시가 정부의 의욕에도 불구하고 산업기반을 확충하지 못해 베드타운(Bed Town, 잠만 자는 도시)으로 전락한 일산신도시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울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통대책을 두고도 말이 많다. 현재 검단신도시 예정지와 서울을 잇는 도로는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가 고작이다. 그러나 이들 도로는 이미 포화상태다.

그런데도 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대책에는 이 부분이 빠져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서울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교통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