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염창역부동산
- 염창역시프트
- 목2동빌라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세권개발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
- 비즈니스·경제
- 빌라투자
- 목2동빌라투자
- 목동부동산
- 등촌역세권개발
- 목2동빌라매매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빌라
- 비즈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부동산
- 신목동역
- 염창역세권
- 역세권시프트
- 목2동개발
- 목동재개발
- 지하철9호선
- 염창역빌라매매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동탄2신도시 분양 2년 늦어진다" 본문
"동탄2신도시 분양 2년 늦어진다"
정부,후분양제 고려안해 일정 혼선
건설교통부가 화성 동탄 제2신도시 등 2기 신도시 분양 일정을 발표하면서 내년부터 시행될 후분양제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국경제신문이 18일자로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따라 건교부가 당초 2010년 2월 첫 주택을 분양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던 동탄 제2신도시의 경우 실제 분양이 2012년 초로 2년 가까이 늦춰질 전망이다.
양주·김포·광교 등도 1년 이상 지연
또 2008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분양될 것으로 알려졌던 양주·김포·광교·파주3지구(운정)·검단·평택 등 다른 신도시들도 1년~1년6개월 정도 지연될 것으로 보여 시장에 상당한 혼선이 우려되고 있다.
건교부 한 관계자는 17일 "송파(위례) 신도시를 제외한 동탄 제2신도시 등 수도권 2기 신도시 주택분양 일정은 2008년부터 시행되는 후분양제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며 "내년부터 후분양제가 실시되면 각 신도시별 추진 단계를 고려해 분양 일정을 수정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2기 신도시의 주택분양 일정이 후분양제를 고려할 경우 최대 2년 정도 늦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8년 3월 주택을 첫 분양할 것으로 발표됐던 양주 신도시는 2009년 3월,2008년 6월로 예정됐던 김포 신도시는 2009년 6월로 각각 1년씩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후분양제는 현행 선분양제와는 달리 아파트 건물을 일정 정도 지은 후 분양하는 제도로 공공 택지에서 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이 분양하는 주택부터 적용된다.
시행 첫해인 2008년에는 공정률 40%로 1년 정도의 공기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0년에는 60%(17개월),2012년에는 80%로 확대된다.
내년부터 공공 택지 아파트 상당수는 후분양
건교부는 민간 건설업체에 대해서도 택지 우선공급,금융우대 조건을 통해 후분양제를 유도할 방침이어서 내년부터 공공 택지에서 분양되는 아파트의 상당수가 후분양 방식으로 공급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정부가 이미 도입 시기가 예정돼 있던 후분양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동탄 제2신도시 등 2기 신도시 분양 일정을 발표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시장에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
특히 수도권 2기 신도시 분양 로드맵이 전면 수정되면 조기 주택 공급을 통해 수도권의 집값 안정을 이루겠다는 정부 구상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대해 주택산업연구원 장성수 연구실장은 "정부가 빠른 시일내에 주택공급 물량을 늘려 수도권의 집값을 안정시키겠다는 의지에서 후분양제를 고려하지 않고 분양일정을 서둘러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책간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서둘러 교통정리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가화예정용지 1221만평 지정…그린벨트도 해제돼 관심 (0) | 2007.06.18 |
|---|---|
| 수도권 서북부 거점도시 개발 (0) | 2007.06.18 |
| 주택대출금리 인상 '고민되네' (0) | 2007.06.18 |
| "땅 보상금 재유입 방지대책 총 동원" (0) | 2007.06.18 |
| "노정부 토지보상비 110조원" (0) | 2007.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