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목2동빌라
- 역세권시프트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세권개발
- 목동구시가지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
- 염창역빌라매매
- 목동재개발
- 목동부동산
- 목2동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개발
- 목2동빌라매매
- 목2동개발
- 염창역빌라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동빌라투자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빌라투자
- 염창역부동산
- 지하철9호선
- 목2동부동산
- 염창역시프트
- 신목동역
- 염창역빌라투자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세권
- 비즈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버블지역 아파트 낙찰가율 80%대 ‘붕괴’ 본문
버블지역 아파트 낙찰가율 80%대 ‘붕괴’
4월 낙찰가율 79.68%로 13개월 만에 처음
부동산시장 침체가 지속되면서 버블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13개월 만에 80%대가 붕괴됐다. 이는 경기남부지역의 입주쇼크의 영향으로 급매물이 쌓이면서 분당, 용인 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두 달 연속 급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4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3월에 비해 2.27%p 하락한 79.68%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이 80%가 붕괴된 것은 지난 2009년 3월(79.89%)이후 13개월 만이다.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해 9월 91.25%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금융당국의 제2금융권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 시행으로 ▲ 10월 88.44% ▲ 11월 84.97% ▲ 12월 85.16% 등 세달새 6%p 넘게 하락했다.
새해 들어 전셋값 폭등과 함께 강남권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들썩였지만 응찰자들의 저가입찰로 낙찰가율은 83.48%로 다시 하락세를 기록했다. 2월 들어 84.08%로 소폭 상승하는 듯했지만 은마아파트 안전진단통과에도 집값이 하락한데 이어 보금자리주택 공급, 경기남부지역 입주쇼크 등의 영향으로 3월과 4월 낙찰가율은 각각 81.95%, 79.68%을 기록하며 낙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경기남부 ‘입주쇼크’ 분당·용인 낙찰가율 급락
지역별로 살펴보면 분당과 용인의 낙찰가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분당과 용인은 경기남부지역으로 올 연말까지 1만 가구가 넘는 입주쇼크의 영향으로 매매시장에 급매물들이 쌓이면서 낙찰가율이 두 달 연속 70%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분당아파트 낙찰가율은 75.34%로 3월(79.37%)에 비해 4.03%p하락했고, 용인도 같은 기간 동안 2.35%p 내리면서 76.41%를 기록했다.
강남권(강남·서초·송파구)은 감정가 20억원이 넘는 주상복합아파트의 저가낙찰로 3월(84.32%) 보다 2.49%p 하락한 81.83%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반면 목동은 지난 3월(-4.78%p) 급락했던 낙찰가율이 다소 진정되면서 1.83%p 상승한 84.82%를 나타냈고, 평촌도 전달에 비해 1.81%p 오른 80.59%를 기록하면서 80%대로 회복했다.
지난달 19일 수원지법 성남지원 2계에서 열린 경매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양지마을 금호 전용 134.48㎡가 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감정가(9억원)의 68.44%인 6억1600만원에 낙찰됐다. 29일에는 경기도 용인시 신봉동 신봉자이1차 전용 133.81㎡에 4명이 몰리면서 감정가(6억 5,000만원)의 70%인 4억 5,50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한편 지난달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은 매매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3월에 비해 1.78%p 하락한 80.69%를 기록했다. 서울이 1.44%p 내린 82.18%, 경기가 2.22%p 하락하면서 79.19%로 1년 만에 70%대로 주저 앉았다. 반면 인천은 3월에 비해 0.26%p 상승한 81.71%를 나타냈다.
디지털태인 이정민 팀장은 “분당·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중대형 고가아파트가 매매시장에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보니 경매시장에서도 2~3회 유찰된 물건 아니면 입찰자들이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며 “급락세가 진정되지 않는 이상 낙찰가율 하락세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박일한 기자 jumpcut@joongang.co.kr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 주택대출 금리 3% 중반…역대 최저 (0) | 2010.05.20 |
---|---|
전세금 대출 한도 8000만원으로 상향 (0) | 2010.05.06 |
비강남권 6억 이하 주택거래 DTI 사실상 해제 (0) | 2010.05.06 |
미분양 4만가구 해소대책 어떤 내용 담았나? (0) | 2010.04.23 |
묵혀뒀던 청약예ㆍ부금 빛 볼 기회 (0) | 201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