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경실련 "판교 분양원가 구성 엉터리" 본문

재개발 - 투자/* 재개발뉴스

경실련 "판교 분양원가 구성 엉터리"

조은무지개 2006. 12. 5. 12:15
 

경실련 판교 분양원가 구성 엉터리


건설사 초과이익 은닉 의혹 제기


판교신도시 1차 민간분양 아파트의 원가 구성이 엉터리이고 건설사들이 석연치 않은 항목을 만들어 부당한 이득을 숨겼을 가능성이 높은 데도 해당 지자체는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5일 오전 서울 대학로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남시장이 승인한 판교 민간분양 아파트의 원가구성 내용을 입수해 성남시가 추후 인터넷을 통해 공고한 것과 비교한 결과 총 분양가액만 9915억원으로 같을 뿐 구성비가 전혀 달랐다"고 밝혔다.

경실련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2월 28일 성남시의 사업승인 당시 5개 민간건설사의 총 건축비는 3878억(평당 459만원)이었지만 4-11월 감리자 모집 공고문을 통해 공개된 건축비는 1228억이 줄어든 2650억원(평당 314만원)이었다.

총 분양가액만 같고 구성비는 틀려

건축비가 줄어듦에 따라 2.75%의 감리요율을 적용할 경우 건설사들이 부담해야 하는 총 감리비용 또한 106억에서 72억으로 줄었지만 그 만큼 분양가는 낮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건축비가 줄어든 대신 분양비용 등 간접비는 승인 당시 278억(평당 33만원)에서 1314억원(평당 156만원)으로 크게 늘었다.

경실련은 늘어난 간접비 중에 승인 당시엔 없었던 `기타사업성 경비' 646억원이 새로 생긴데 주목하면서 이 항목이 건설업체의 이윤을 감추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실련 윤순철 국장은 "사업승인권을 갖고 있는 성남시가 두 차례에 걸친 건설사의 자료제출 내역을 꼼꼼히 들여다봤더라면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을 리 없다"며 "총 분양가만 같으면 된다는 식의 자치단체의 안일한 대응이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