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염창역시프트
- 염창역세권시프트
- 목2동개발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비즈
- 비즈니스·경제
- 염창역세권
- 역세권시프트
- 염창역빌라매매
- 염창역
- 목2동빌라투자
- 목2동부동산
- 염창역세권개발
- 목동구시가지개발
- 지하철9호선
- 염창역부동산
- 등촌역세권개발
- 염창역빌라
- 염창역빌라투자
- 빌라투자
- 목동빌라투자
- 목2동빌라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동재개발
- 목동구시가지
- 목2동빌라매매
- 목동부동산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신목동역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서울 강북권 매매시장 꿈틀 본문
서울 강북권 매매시장 꿈틀
경전철 호재로 가수요까지 입질
서울 강북권 아파트 매매시장이 꿈틀거린다. 9월 분양가 상한제 실시 등의 변수로 아파트값이 내리길 기대하며 매수시점을 늦춰왔던 대기매수세들이 매수대열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일부 지역에선 실수요 뿐 아니라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사놓는 가수요까지 나타나고 있다. 경전철 호재 등으로 집값이 오를 조짐을 보이자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일부 매수세들이 선취매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와 한국부동산정보협회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평균 0.08% 올랐다. 강북권(0.25%)의 강세로 지난주(0.05%)보다 평균 주간상승률이 높아졌다.
성북구 돈암동 태영부동산(02-921-2100) 성기완 사장은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간 매매시장이 조용하다가 이달 들어 다시 거래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돈암동ㆍ동소문동 일대에서 일부 매물은 전세를 낀 상태로 매매가 되고 있다.
성북구 길음동 온누리부동산(02-984-7300) 장명환 사장은 “최근 105㎡형(32평형) 매물을 찾는 매수문의가 늘어났다”고 말했다. 길음동 일대에서 89㎡형(27평형)의 경우 올 초부터 계속 매물이 귀해 값이 강세였고 최근 들어 30평형대까지로 매수세가 확산 되고 있다는 것이다.
“매물이 없어 거래 못할 정도”
강북구 번동 호박공인(02-945-0888) 유정미 사장은 “투자수요까지 붙고 있지만 매물이 없어 거래를 못 할 정도”라고 전했다. 강북지역 집값 상승의 걸림돌이었던 교통문제가 경전철 건설로 인해 해결될 것이란 기대감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도봉구 방학동 프라자 공인(02-956-3003) 관계자도 “소형 위주로 매수문의가 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노원구 상계동 황토공인(02-932-2244) 최재영 사장은 “지역 내에서 평수를 넓혀 이사 가려는 수요가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강남권은 관망세 두드러져…재건축 오름세도 ‘주춤’
강북지역과 달리 강남권(0.05%)은 조용한 편이다. 지난달까지 2개월간 호가 오름세를 지속해왔던 강남권 재건축 시장도 관망세가 두드러진다. 강남구 재건축 아파트 주간상승률이 지난주 0.29%에서 이번 주 0.15%로 낮아졌다.
일반 아파트 매매시장은 거래 기근이 이어지고 있다. 송파구 신천동 중앙공인(02-415-8900) 김진국 사장은 “매물은 계속 나오는데 집을 사려는 사람이 없어 거래가 끊기다시피 한 상태”라고 전했다.
강서권(0.04%)과 강동권(0.04%) 아파트 시장도 보합세다. 강서구 가양동 세종공인(02-2658-8100) 정혜영 사장은 “급매물 위주로만 거래가 되고 있고 시세변화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수도권, 개발호재 지역만 강세
수도권(0.07%)의 경우 주요지역은 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개발 호재가 있는 외곽지역은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과천(-0.13%)ㆍ화성(-0.12)ㆍ김포(-0.07%)ㆍ성남(-0.06%)ㆍ고양시(-0.01%) 등이 내림세를 보였고 시흥(0.52%)ㆍ의정부(0.35%)ㆍ평택(0.08%) 등이 올랐다.
5개 신도시는 평균 0.02% 내렸다. 산본(-0.09%)이 대형 위주로 하락폭이 컸다. 인천은 집창촌 재개발 등 개발열기가 뜨거운 남구가 1.04%나 오른 영향으로 평균 0.28%의 주간상승률을 기록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서울·경기 거주자 “인천으로 가자” (0) | 2007.07.17 |
|---|---|
| 여의도서 주상복합으로 재건축 다시 추진? (0) | 2007.07.17 |
| 국세청, 신도시 투기 미리 막는다 (0) | 2007.07.13 |
| 서울 거주자, 송도·영종·청라 1순위 청약가능 (0) | 2007.07.13 |
| 단국대부지 아파트사업 본궤도 오를까 (0) | 200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