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목2동빌라
- 염창역부동산 염창역세권시프트
- 염창역세권
- 염창역시프트
- 염창역세권개발
- 염창역빌라
- 염창역세권시프트
- 신목동역
- 목2동부동산
- 등촌역세권개발
- 역세권시프트
- 지하철9호선
- 염창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빌라투자
- 목동부동산
- 목동구시가지
- 염창역
- 목2동도시환경정비사업
- 비즈
- 염창역부동산
- 역세권도시환경정비사업
- 목2동빌라투자
- 목동빌라투자
- 염창역빌라투자
- 목동구시가지개발
- 염창역빌라매매
- 목2동개발
- 비즈니스·경제
- 목2동빌라매매
- 목동재개발
Archives
- Today
- Total
염창역세권 개발-조은공인
`아파트 소음피해' 택지개발자도 공동배상 본문
`아파트 소음피해' 택지개발자도 공동배상
중앙환경분쟁조정위 결정
고속도로변 아파트 주민들의 소음 피해에 대해 아파트 건축, 분양사는 물론 택지개발사업자도 공동으로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재정결정이 내려졌다.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경북 구미시 A아파트 주민들이 "8차선으로 확장된 경부고속도로의 교통소음으로 정신적 피해를 입고 있다"고 낸 재정신청과 관련해 아파트 건축, 분양사 및 택지개발사업자가 주민 551명에게 1억4천400만원을 배상하라고 결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개발사업자가 방음대책 소홀히 해
조정위는 "아파트 건축, 분양사는 방음벽을 설치했지만 중ㆍ고층 세대의 야간 소음도가 최고 73데시벨로 나타나 피해인정기준(야간 65데시벨)을 초과했다"며 "택지개발사업자는 방음대책을 소홀히 한 채 부지를 공급한 점에서 공동의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조정위는 재정신청을 낸 주민 1천183명 가운데 야간소음도 측정결과 65데시벨을 초과한 가구 주민 551명에 대해서만 피해를 인정했으며, 이들이 아파트 분양 당시 고속도로 확장공사가 진행 중임을 알고 있었기에 실제 배상액의 50%를 깎았다.
저소음재 포장,감시카메라 설치 등 대책 세워야
조정위는 한국도로공사와 관할 구청도 방음대책을 강구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아파트 건축, 분양사 및 택지개발사업자와 함께 저소음재 포장과 감시카메라 설치, 방음벽 추가설치 등의 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재개발 - 투자 >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원등 접경지역 땅시장 웬 훈풍 (0) | 2007.08.06 |
---|---|
인천 검단신도시 면적 확대될까 (0) | 2007.08.06 |
아파트 분양가, 대형이 중소형보다 2배 비싸 (0) | 2007.07.30 |
'고층 아파트와 저층 타운하우스가 한 단지에' (0) | 2007.07.30 |
30일부터 민간-공공 공동택지사업제 시행 (0) | 2007.07.30 |